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라고도 하며 CPU(Central Processing Unit, Central/main Processor)는 컴퓨터 시스템을 통제하고 프로그램의 연산을 실행·처리하는 가장 핵심적인 컴퓨터의 제어 장치, 혹은 그 기능을 내장한 칩입니다. 외부에서 정보를 입력받고, 기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해석하여 연산하고,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중앙 처리 장치(CPU)는 컴퓨터 부품과 정보를 교환하면서 컴퓨터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장치로, 모든 컴퓨터의 작동과정이 중앙 처리 장치(CPU)의 제어를 받기 때문에 컴퓨터의 두뇌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의 CPU 칩엔 실행 부분뿐만 아니라 캐시 등의 부가 장치가 통합되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 서버 및 웹 브라우저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우리가 흔히 인터넷 주소창에 'http://www.naver.com'과 같이 URL 주소를 입력하면 이 웹 서버에 명령을 보내어 작동하게 되는 것입니다. HTTP는 TCP/IP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로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OSI 7 Layer를 이해하면 좋은데요. 추후 포스팅에서 OSI 7 Layer에 대해서 다루는 시간을 가져보도록하고 본문에서는 HTTP 구성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앞서 TCP/IP 기반이라고 말씀드렸던 것처럼 서버-클라이언트 형태로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HTML, TEXT, 이미지,..
RJ 케이블이란, RJ 케이블은 'Registered Jack'의 약자로 음성 및 데이터 장비를 지역 통신사 또는 장거리 통신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연결하기 위한 표준화된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입니다. 랜케이블로도 많이들 알고 있는 케이블이 바로 RJ 케이블인데요. 1970년대 FCC(Federal Communications Comissions)에서 규정한 고객 제공 통신 장비 등록(Registered) 프로그램을 준수하기 위해 미국 벨 시스템의 USOC(Universal Service Ordering Code) 시스템에 처음 정의 되었다고 합니다. RJ-11(1회선), RJ-14(2회선), RJ-25(3회선) 등 각각의 서비스에 맞는 인터페이스 규격들이 있으며 본문에서는 RJ-45와 RJ-50에 대해..
이번 시간에는 IPv4와 IPv6에 대해서 비교해보고자 합니다. 본문을 살펴보기에 앞서 IP란 용어에 대해 조금 이야기하면 IP란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에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을 말합니다. 이 데이터를 원활히 주고 받기 위한 신호 송신의 순서, 데이터의 표현법, 오류 검출법 등을 정하는 것이 프로토콜(=통신 규약)이라 보시면 되고요. 기본 개념 적립이 중요하다 싶어 간략하게 적어보았으니 좀 더 자세한 사항을 원하시는 분들은 추가 검색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송신 호스트와 수신 호스트 간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보내고 받는 곳의 주소가 필요한데요. 대표적인 IP 주소(IP Address) 체계로 오늘 다뤄볼 IPv4와 IPv6가 있습..
HDD(Hard Disk Drive) 하드디스크 또는 Hard Disk Drive의 줄임말입니다. 일반적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로 많이 쓰이며 전원이 나가도 데이터가 날아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 하드 안쪽은 위의 이미지처럼 실제 디스크가 있으며, 디스크가 회전하면서 자료를 읽는 형태로 구동됩니다. 따라서 RPM이 높은 HDD는 탐색에 걸리는 시간이 빠르다는 의미로 제조사별 제품군마다 RPM이 얼마인지를 가지고 Hard Disk의 스펙을 명시해 두었습니다. RPM이 높아지면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긴 하지만 가격이 좀 더 비싸며 이 외에도 전력 소모나 소음이 더 커지는 단점도 있긴하니 적당한 HDD를 선정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보통 토렌트같..
메모리(Memory)는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읽기 위한 저장 공간으로 크게 램(RAM)과 롬(ROM)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램(RAM)과 롬(ROM)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전원이 끊어지면 기억된 데이터들이 소멸되기 때문에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라고도 부릅니다. 일반적으로 주기억장치 또는 메모리라고 부르는게 램이라고 보시면됩니다. 자유롭게 읽고 쓸 수 있는 기억장치로 RWM(Read Write Memory)라고도 부른다고 하네요. 데이터를 읽는 속도와 기록하는 속도가 같으며 주기억장치, 응용 프로그램 로딩, 데이터 일시 저장 등과 같은 곳에 사용됩니다. 램(RAM)은 크게 5가지로 분류되며 하나씩 살펴보겠..
USB-C와 Thunderbolt는 같은 것이 아닌가? 많은 분들이 외관상으로는 차이가 없기 때문에 USB-C와 썬더볼트3을 동일한 의미로 생각하시는데요. 동일한 규격의 USB-C를 선택했기에 외관만 같은 것 뿐이지 적용된 기술은 다릅니다. 그래서 커넥터의 모양만보고 USB-C인지 썬더볼트인지 몰라 호환이 안되는 것이 장비의 어떤 문제로 오인하시는 분들이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각각의 특징과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USB-C 타입 2014년 8월 11일 규격이 완성되어 USB 버전(USB 3.1 Gen2)과 새 충전 규격(USB PD)가 함께 발표되었습니다. 기존 USB 규격의 전송 속도보다 2배 빠른 10Gbps까지 지원하였기에 높은 주목을 받았었죠. 또한 USB-A, USB-B 등 다..
USB 역사 1992년 USB 인터페이스 총책임자로 '아제이 바트(Ajay Bhatt)'이라고 하는 인텔 USB 개발팀 소속의 인물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1990년대까지 컴퓨터를 사용할 때 프린터를 연결하려면 프린터 포트라고 불렸던 패러럴 포트가 있었고 기타 입력 장치(키보드, 마우스)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PS2단자 혹은 D-Sub 9핀(DB9) 시리얼 포트를 이용해야만 했습니다. 이러한 연결 단자들은 서로 호환성이 좋지 않고 복잡하여 새로운 연결 방식의 필요성을 느끼던 중 탄생한 것이 바로 USB(Universal Serial Bus) 규격입니다. Intel, Microsoft, IBM, Compaq, HP, NED 등 당시 컴퓨터 업계에서 거물들이 모여서 표준 연결 개발 인터페이스를 만들기로 합의한..
IEEE 1394 IEEE 1394란 개인용 컴퓨터 및 디지털 오디오, 디지털 비디오용 시리얼 버스 인터페이스 표준 규격을 말합니다. 데이터의 고속 전송과 등시성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며 낮은 단가와 간단하고 융통성 있는 케이블 시스템 덕에 당시에 병렬 SCSI를 대체하였습니다. 플러그 앤 플레이를 지원하도록 설계되어있으므로 운영 체제에서 플러그가 꽂혀있을 때 장치를 자동으로 찾고 필요하면 드라이버를 설치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합니다. Windows 98부터 Windows 10, Mac OS 8.6 또는 이후 버전, Linux 및 대부분의 다른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는 모든 Windows 버전은 IEEE 1394를 지원합니다. 1986년에 시작되었으며 IEEE P1394 워킹 그룹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
지난번 글에 이어서 버스 시스템(Bus System) 2탄으로 PCI, AGP, PCI-X, PCIe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각 규격의 등장 순서는 PCI >> AGP >> PCI-X >> PCIe이며 국내에서는 PCI >> AGP >> PCIe x16 순으로 바뀌어 왔다고 합니다. 순서대로 성능 향상이 있었다고 보면되고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Bus), 1992년~2004년(가끔 사용됨) PCI는 1990년 즈음에 Intel의 아키텍처 개발 연구소에서 비롯하였는데요. 전성기는 펜티엄1~윈도우7까지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최근까지도 메인 보드에 드물게 PCI 슬롯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USB방식의 외..
버스 시스템(Bus System)이란, 부품들 또는 컴퓨터 간에 데이터와 정보를 전송하는 통로(통신 시스템)를 말합니다. 모든 하드웨어 부품들(선, 광 파이버 등) 및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한 소프트웨어를 우리는 버스라고 부르고 있죠. 버스는 각각의 역할에 따라 크게 내부버스, 외부버스, 확장버스(확장슬롯)로 나뉘어집니다. - 내부버스 : CPU와 레지스터 간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통로. 내부버스는 버스의 폭에 따라 16비트, 32비트, 64비트로 구분지음 - 외부버스 : CPU와 주변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통로. 외부버스는 전달하는 신호에 따라 제어버스, 주소버스, 데이터버스로 분류됨 제어버스 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가 각 장치로 전달되는 통로 주소버스 주기억 장치의 주소가 각 장치로 전달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