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onNote

반응형
     

 

 

 

식별자(Identifier)

식별자(Identifier)란 상수, 변수 또는 함수 등의 이름을 가르키며 다른 것과 구분지을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식별자는 A-Z로 시작하고 밑줄(_), 숫자(0~9)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수 문자(@, $, #, % 등)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대소문자를 구별하기에 동일한 이름이어도 대소문자 입력에 유의해야합니다. 지정할 때에는 이름만 보아도 뜻을 바로 파악할 수 있도록 지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이름을 지정하는 것 또한 코딩 스타일의 일부라고 보고 일반적으로 많이 표기하는 4가지 방법을 참고하여 표기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아보이네요.

 

1. 카멜 표기법(Camel Case)

여러 단어를 연달아 사용할 때 각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되 맨 앞에 오는 글자는 소문자로 표기하는 방식입니다. 

예: camelCase, globalVariable, typeName, backgroundColor, readDataValue 등

 

낙타의 등에 있는 혹과도 같다고하여 카멜(Camel)이라고 부르며 XML, JSON과 같이 약자를 포함할 경우 해당 약자를 모두 대문자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봉이 하나라고하여 단봉 낙타 표기법이라고도 부릅니다.)

예 : oldHTMLfile, parsedXMLElement 등

 

2. 파스칼 표기법(Pascal Case)

단어의 모든 앞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는 방식입니다. 카멜 표기법과 유사하여 UpperCamelCase라고도 합니다.(봉이 두개라하여 쌍봉 낙타 표기법이라고도 부릅니다.)

예 : CamelCase, GlobalVariable, TypeName, BackgroundColor, ReadDataValue 등

 

3. 헝가리안 표기법(Hungarian Notation)

접두어에 자료형을 붙이는 표기법으로 한 때 많이 사용하였으나 요즘에는 언어 및 데이터의 종류도 워낙 다양하기에 잘 사용하지 않는 스타일이라고 합니다.

예 : strName, szName 등

 

4. 스네이크 표기법(Snake Case)

단어들 사이에 언더바(_)를 넣어서 표기하는 방식입니다. "_"나 "__"로 시작하는 식별자들이 많은 언어에서는 확장으로 예약되어 있는 경우가 많지 않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관례입니다.

 

 

 

식별자 작성 규칙

1. 소문자, 대문자, 숫자, 언더바의 조합으로 이루어짐

2. 식별자를 표기할 때 숫자로 시작될 수 없음

3. 키워드는 식별자 사용 불가 (키워드와 동일한 이름이라면 식별자 끝에 보통 언더바_ 1개를 붙여서 사용)

4. 특수 문자(@, $, #, % 등)는 사용할 수 없음

5. 길이 제한 없음

6. 대소문자 구별함

 

 

 

 

 

 

 

 

※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클릭 한번이 글 쓰는데 큰 힘이 됩니다.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